비트코인

비트코인으로 떼돈 버는 특별한 지표 이동평균선(MA)의 비밀 [1편]

emp_ty 2023. 6. 17. 01:08
반응형

이동평균선이 무엇일까요? "00일간의 가격을 평균낸 값"

일정 기간 사이의 가격을 평균내서 차트에 선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저는 이것을 이용한 다른 곳에선 안 알려주는 특별한 매매기법을 여러분께 제안해드리고자합니다.

 

 

특별한 매매기법이기때문에

완전히 다 알려드리진 않을 것이고, 나머지는 여러분이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연구하여 얻어내야합니다.

노력은 당신을 배신하지 않을 것입니다.

바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Binance BTCUSDT.P 선물시장 차트

위 사진은 바이낸스 선물시장의 비트코인 차트를 주봉으로 나타낸 사진입니다.

사진을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에서 보이는 규칙들을 눈치 채셨나요?

차트를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선 규칙 보는 눈을 길러야합니다.

 

 

위 사진에서는 차트에서 보여주는 이동평균선과 캔들의 규칙들을 낱낱히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노란색 원이 60일선 저항.

하얀색 원이 24일선 저항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주봉상 그려왔던 차트를 그대로 따라가고있었습니다.

 

60일선과 24일선으로 한 이유는 무엇이며,

더욱 참고 해야할 포인트는 무엇일까요?

어떻게 활용해야 이동평균선을 제대로 쓰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매물대와의 연관성

이동평균선이 "일정 기간 사이의 가격을 평균내서 차트에 선으로 표시하는 지표" 라고 설명드렸었습니다.

이 말은 즉슨, 연속되는 주가의 평균값. 즉 매물대와도 연관지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동평균선의 일 수를 임의로 변경하면서 "가장 지지, 저항을 많이 받는 선"을 찾습니다.

그것이 매물대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연속되는 주가들이 평균값으로 표시된다면,

몇 일간의 평균을 낼 것인가에 따라서 매물대가 되어

선으로 표시할 수 있고, 선을 통해 가시적인 지지와 저항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됩니다. 단지 감이 아니라요.

참고 표시 사진.

자 이 정도만 들어도 이동평균선이 아주 매력적으로 다가오는데요,

이동평균선(주가 평균)을 제대로 활용하기위해선

매물대에서의 캔들 작용을 잘 이해해야합니다.

 

매물대에 근접한 캔들은 저항을 받습니다.

그 저항력이 강한지, 약한지에 따라 매물대의 세기 따위도 가늠하곤 하죠.

슬슬 감이 잡히시면 성공적입니다

바로 차트에 이동평균선을 적용하러 가보세요.

이동평균선과 매물대의 연관성을 느껴보세요.

해당 글들을 읽으셔도 직접 차트에 부딪히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습니다.

 

고작 1편은 여기까지 마무리해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