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비트코인으로 떼돈 버는 특별한 지표 이동평균선(MA)의 비밀 [3편, 조정에 대처하기]

emp_ty 2023. 6. 24. 21:57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편에서는 이동평균선의 강한 추세 힘을 확인해봤습니다.

 

오늘은 강한 추세에 반하는

추세가 꺾이는 구간(조정 구간)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이동평균선과 조정 구간

 

차트를 많이 보다보면 자주 목격하게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강한 상승.하락 추세가 꺾여서 주춤하거나,

캔들의 힘이 반대 쪽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상황말이죠.

 

이동평균선도 마찬가지로

결국엔 캔들이 잘나아가다가 이동평균선에 지지받지 못하고

반대쪽으로 꺾이는 조정 구간이 생기게 됩니다.

 

투자를 하면서 알게되는 정말 웃긴 사실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외로 이런 조정 구간에서

가장 많은 돈을 투자하곤 합니다.

 

막상 상승 초입부에 들어가질 않고,

조정이 나오고 있는 중에 진입을 하는 것이죠.

 

심리상, 상승이 나오다가 꺾이면

여기서 더 강한 상승이 다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조정 구간에서 남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대처 방법이 존재하고, 예측이 가능하다면..

 

코인을 매매하는 개개인은 과연 얼만큼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얼만큼의 이익을 얻어낼 수 있을까요?

 

2편에서의 차트

여러분은 이 차트를 봤을때 다음 봉은 어떻게 생성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이동평균선이 뚫렸을 때 어떻게 반응하시나요?

 

대응하기 위한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정의 규모, 조정의 종류를 예상해보자.

 

 

 

오늘 3편은 그 많은 조정 중 횡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2편에서 예시로 썼던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사진에서는

결국 추세를 잘 받쳐줬던 이동평균선이 뚫리게 됩니다.

 

하지만 한 번 아래로 뚫었음에도

다시 위로 올라와버립니다.

 

자 이런 경우 원래대로라면 굉장히 어렵습니다만

의외로 간단합니다.

 

의미있는 하락, 상승 거래량이 터지지 않으며

거래량이 계속해서 낮아지거나 유지된다면

 

일단 그냥 횡보라고 생각합시다.

실제로 해당 차트에선 횡보가 나왔습니다.

 

"다른 시나리오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건데요?"

 

왜 제가 우선 무작정 횡보라고 생각하라고 했을까요?

 

횡보는 1. 위든, 아래든 가장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포지션이기 때문입니다.

2. 강했던 추세가 반복적으로 뚫리게 되면 횡보가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았습니다.

 

심지어 마침 횡보가 나왔을 때는

3. 반응하기가 매우 쉽습니다.

 

 

그저 거래량을 유심히 바라보기만 하면 됩니다.

 

횡보에서는 거래량과 캔들로 판단합니다.

 

또 다른 예시를 보겠습니다.

 

해당 차트에서는 횡보를 이어가다가 결국 거래량이 크게 터진 후, 방향이 그대로 이어져갑니다.

 

횡보, 캔들. 거래량 그리고 이동평균선

 

어떻게 보더라도 분명 관련이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차트가 말해주고 있습니다.

 

 

차트에 담겨진 비밀,

이동평균선과 횡보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았는데요.

 

 

이 힌트들을 보시고 정말 연구를 거듭하셔서 좋은 성과를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